묵상이란 무엇인가?

묵상은 인간의 내면 깊숙이 자리 잡은 생각, 감정, 동기, 그리고 행동을 하나님의 시선에서 비추어 보고, 자신의 존재와 삶의 방향을 다시 설정해 나가는 영적 훈련이다. 이 과정은 단순히 생각을 정리하거나 기도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나의 내면을 정화하여 하나님과의 일치를 이루고, 나를 새롭게 변화시키는 데 있다. 묵상은 영적 여정으로서,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되새기며, 삶 속에서 실천하여 성숙한 신앙인의 모습을 형성하도록 돕는 실천적 훈련이다.

1. 묵상의 철학적 기원과 기독교적 의미

묵상의 개념은 단순한 현대적 명상이 아니라, 인간의 근본적인 진리 탐구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 고대 그리스 전통에서는 묵상을 ‘쎄오리아(Theoria)’라고 불렀으며, 이는 단순한 지적 탐구가 아니라 신적 진리를 깨닫고, 이를 삶 속에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쎄오리아는 그리스어로 ‘들여다봄’ 혹은 ‘관조’를 의미하며, 신의 시각에서 인간 존재와 세상을 바라보려는 시도였다. 이를 위해 인간은 자신의 감정, 생각, 욕망을 내려놓고, 궁극적으로는 더 높은 진리와 일치하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

로마 전통의 묵상, 즉 *콘템플라치오(Contemplatio)*는 ‘신전’과 ‘함께’를 의미하는 단어로, 고대 로마인들이 신전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신의 뜻을 구하는 행위였다. 이는 마치 신이 높은 하늘에서 모든 것을 내려다보듯, 자신을 포함한 세상 전체를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보는 연습이었다. 이러한 철학적 묵상 전통은 단순한 명상이 아니라, 자신의 왜곡된 자아를 내려놓고 더 높은 진리를 받아들여 자아를 초월하고, 세상의 본질을 이해하려는 시도였다.

2. 성경적 묵상의 목적: 하나님의 말씀으로 내면을 재정비하기

성경적 묵상은 인간의 내면 깊은 곳에 하나님의 말씀을 심고, 이를 통해 자신의 성품과 행동을 새롭게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편 1편 2절은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자로다”라고 말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는 자가 복된 자임을 강조한다. 이 묵상은 단순히 말씀을 읽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말씀을 되새기고, 나의 삶에 적용하여, 내 생각과 행동이 하나님의 뜻에 일치하도록 이끄는 것이다.

성경적 묵상은 네 가지 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며, 각각의 단계는 인간의 내면을 재정비하고 변화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렉시오(Lectio): 이 단계에서는 성경 본문을 천천히 반복하여 읽으며, 말씀에 담긴 하나님의 뜻을 찾는 것이다. 예를 들어, “너희가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라는 마태복음 6장 33절의 말씀을 읽을 때, 단순히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하지 말고, 마음을 열고 이 말씀이 나의 삶에 어떤 도전을 주고 있는지를 느껴본다. "내가 정말 나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먼저 구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며, 말씀의 본질을 더 깊이 음미하는 것이다.

메디타티오(Meditatio): 읽은 말씀을 마음속에서 되새기며, 나의 현재 상황과 삶의 모습에 비추어 깊이 묵상한다. 예를 들어, 내가 어려운 결정을 앞두고 있다면, 하나님의 나라와 의를 구하는 삶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고민한다. 나는 지금 하나님의 뜻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가, 아니면 나의 욕망과 필요를 앞세우고 있는가? 이 과정에서 말씀의 의미를 나의 상황에 구체적으로 적용해 보고, 내가 변화해야 할 부분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오라티오(Oratio): 메디타티오를 통해 깨달은 내용을 하나님께 기도로 올려드린다. 나의 부족한 점,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지 못했던 모습들을 고백하고, 그분의 뜻을 따르려는 결단을 기도로 표현한다. “하나님, 저는 여전히 내 필요와 욕망을 먼저 구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하나님의 나라와 의를 우선순위에 두도록 제 마음을 변화시켜 주십시오”라고 솔직하게 하나님께 나아간다.

콘템플라티오(Contemplatio): 마지막으로, 깨달은 진리를 삶 속에서 실천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나 가정에서 하나님의 나라와 의를 먼저 구하는 삶을 살기 위해, 매일 아침 하루를 시작하기 전에 10분간 말씀을 읽고 기도하는 시간을 갖기로 결단할 수 있다. 혹은,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마다 먼저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기도하는 습관을 들이겠다고 다짐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내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변화시킬지, 어떻게 행동할지를 계획하고 실천한다.

3. 묵상과 다른 종교의 명상과의 차별점

기독교의 묵상은 불교, 힌두교, 이슬람의 명상과 몇 가지 면에서 차이가 있다. 불교의 명상은 마음의 잡념을 비우고 자아를 초월하는 것이 목적이다. 예를 들어, ‘드야나(Dhyana)’라고 불리는 불교의 명상은 마음속의 모든 욕망을 내려놓고 무(無)의 상태에 도달하여 해탈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힌두교의 ‘요가’는 신과의 합일을 이루기 위한 몸과 마음의 통제법으로, 자신의 생각을 멈추고, 모든 감각을 억제하여 내적 평온을 얻는 것이다.

반면, 기독교의 묵상은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나의 내면을 변화시키고, 그분의 성품을 닮아가는 것이 그 목적이다. 단순히 자아를 비우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채워 그 말씀을 삶 속에서 실천함으로써 내면의 변화를 이루는 데 있다. 이슬람의 기도(짤라)도 하루 다섯 번의 의무적인 예배를 통해 자신의 삶을 점검하지만, 이는 규율 준수와 하나님에 대한 복종을 강조하며, 기독교의 묵상과는 성격이 다르다.

4. 묵상의 궁극적 목표: 성품의 변화와 영적 성숙

묵상의 궁극적인 목표는 하나님과의 깊은 일치를 이루어 그분의 성품을 닮아가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성품인 사랑, 자비, 온유, 절제 등의 열매를 맺으며, 삶 속에서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묵상은 단순히 나의 문제를 해결하고, 내면의 평화를 찾는 것을 넘어서, 나의 성품과 삶 전체가 하나님의 성품을 반영하도록 재정비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묵상은 우리를 더 성숙한 그리스도인으로 빚어가는 영적 훈련이며, 하나님과의 깊은 교제를 통해 나의 삶과 성품을 변화시키고, 그분의 뜻을 실천하며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삶을 살아가도록 인도하는 거룩한 여정이다.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