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학교 인문학교실은 인문학을 주제로 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이를 성공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AARRR(유입, 활성화, 유지, 추천, 수익) 모델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은 각 단계에서 데이터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프로그램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개선할 여지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게 해 줍니다. 이를 통해 교육 효과와 참여율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1. 유입 (Acquisition): 어떻게 학습자를 끌어올 것인가?
첫 단계는 학습자를 어떻게 유입시킬 것인가에 대한 고민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학생을 모집하고, 각 채널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분석해야 합니다.
SNS 마케팅: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톡과 같은 소셜 미디어는 넓은 도달 범위와 타겟팅 광고 기능을 갖추고 있어 주말학교 인문학교실을 홍보하기에 적합한 채널입니다. 특히 특정 연령대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을 타겟으로 광고를 집행하면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교회 네트워크 활용: 주말학교 인문학교실은 신앙과 학문을 접목하는 프로그램이므로, 교회와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홍보할 수 있습니다. 교회의 주보, 웹사이트, 목회자의 추천을 통해 교회 내 신도들에게 프로그램을 알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역 커뮤니티 및 오프라인 홍보: 지역 도서관, 카페, 문화센터 등에서 전단지를 배포하거나 작은 설명회를 열어 지역 주민들에게 프로그램을 알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러한 오프라인 접근은 지역 주민들에게 직접 다가가며 신뢰를 쌓을 수 있습니다.
KPI: 이 단계에서는 신규 등록 학생 수, 웹사이트 방문 수, 광고 클릭률, 홍보물 반응률 등을 주요 성과 지표로 삼아 각 채널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어느 채널이 가장 많은 유입을 가져오는지 파악하고, 마케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습니다.
2. 활성화 (Activation): 학생들이 참여하면서 가치를 느끼는가?
유입된 학생들이 단순히 등록만 하고 떠나는 것이 아니라, 첫날부터 긍정적인 경험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와우 모멘트’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학생들이 첫날부터 수업에 흥미를 느끼고 가치 있는 경험을 한다면, 자연스럽게 이후에도 계속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흥미로운 첫 강의 주제 설정: 첫 수업에서 학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인문학적 주제를 선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고전 문학이 현대 사회에 주는 메시지"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철학적 사고"와 같은 주제는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참여형 활동 도입: 학생들이 수업 중에 자신들의 의견을 나누고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실습, 토론, 그룹 프로젝트와 같은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수업에 몰입할 수 있습니다.
성취감을 줄 수 있는 작은 과제: 첫날부터 학생들에게 작은 과제를 제공하여 그들이 직접 인문학적 사고를 적용해보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학습의 성취감을 느끼고, 프로그램에 대한 동기부여가 강화됩니다.
KPI: 이 단계에서는 출석률, 수업 후 피드백 점수, 수업 체류 시간, 강의 참여도 등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얼마나 몰입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3. 유지 (Retention): 학생들이 계속해서 돌아오는가?
학생들이 한 번 참석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주말학교에 돌아와야 프로그램의 성공이 보장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할 전략이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알림: 수업 일정을 미리 공지하고, 학습 목표와 학습에 대한 기대감을 심어주는 이메일이나 메시지를 보내면 학생들이 꾸준히 참여할 수 있습니다.
개인 피드백 및 격려: 학생 개개인의 학습 성과를 추적하고, 성장을 칭찬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들은 자신이 진보하고 있음을 느끼고, 프로그램에 더 많은 애정을 갖게 됩니다.
계속 학습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재참석률을 높이기 위해 여러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정 횟수 이상 참여한 학생들에게 수료증이나 특별한 혜택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KPI: 재참석률, 다음 세션 등록률, 수강 연장률 등을 추적하여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얼마나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4. 추천 (Referral): 프로그램을 추천하는가?
만족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프로그램을 주변에 추천하게 됩니다. 추천을 장려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천인 등록 프로그램 운영: 학생들이 친구나 가족을 추천할 경우 혜택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추천을 통해 등록한 경우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추천을 독려할 수 있습니다.
SNS에서 프로그램을 공유하도록 유도: 수업 후 학생들에게 SNS를 통해 수업의 느낌이나 배운 점을 공유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프로그램을 홍보하게 될 것입니다.
KPI: 추천인 비율, 추천 가입률, 추천을 통한 등록자 수 등을 통해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얼마나 활발히 추천하는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5. 수익 (Revenue): 프로그램이 수익을 창출하는가?
수익 창출은 프로그램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참가비를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후원 시스템을 통해 추가적인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참가비 설정: 프로그램의 가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참가비를 설정합니다. 학생들이 지불할 의향이 있는 금액을 파악하고, 수익 창출에 초점을 맞춘 비용 구조를 마련해야 합니다.
후원 시스템 도입: 교회나 지역 커뮤니티의 후원을 통해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의 가치를 잘 전달하여 후원자들을 모집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KPI: 참가비 수익, 등록자당 평균 수익, 후원금 등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이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한지 확인합니다.
결론
주말학교 인문학교실은 AARRR 지표를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각 단계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학생 유입부터 유지, 추천, 수익 창출까지 전 과정을 관리하고, 필요한 부분을 개선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 기반의 접근을 통해 주말학교 인문학교실은 더 많은 학생들에게 인문학적 가치를 제공하면서, 경제적으로도 지속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