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모두가 놓치고 있었던 공부의 본질
3장: 왜 모두가 똑같이 배워야 한다고 생각할까
기존의 교육 시스템은 모든 학생이 동일한 내용을 같은 방식으로 학습해야 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공립학교의 표준화된 시험은 학생들의 개별적인 학습 속도와 흥미를 무시하고, 모두가 같은 기준으로 평가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학습 능력이 우수한 학생들은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반면 학습 속도가 느린 학생들은 학습 동기를 잃게 됩니다. 예를 들어, 2000년대 초 미국의 노스캐롤라이나 교육청은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학생 개개인의 이해도와 학습 속도에 맞춘 개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가 평균 15% 이상 상승하였으며, 학습 만족도도 크게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처럼 획일적인 교육 방식은 학생들의 잠재력을 억누르고, 오히려 그들의 흥미와 재능을 발견하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학생의 성향과 학습 스타일을 반영하여 학습 목표와 방법을 유연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4장: ‘무엇을 배우는가’보다 더 중요한 것
무엇을 배우는지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떻게 배우는지입니다. 학습이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고 암기하는 데 그친다면, 학생들이 이를 실제 상황에 적용하거나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르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핀란드의 교육 시스템은 지식 암기보다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실생활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둡니다.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질문을 던지고,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며, 실험이나 프로젝트를 통해 직접 경험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문제 해결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한 지식 습득보다는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상황에 어떻게 적용하고 사고방식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에 대한 학습이 더 중요합니다.
5장: 소비/암기형 학습의 종말과 새로운 학습 유형
전통적인 주입식 학습은 학생들이 지식을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소비형 학습’에 불과합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공교육은 오랫동안 시험과 암기 위주로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창의적 사고를 키우지 못하고 단순히 시험에 맞춘 지식을 암기하는 데 그쳤습니다. 반대로, 미국의 미네소타 주립대학에서는 소비형 학습의 문제를 인식하고, 학생들이 직접 문제를 해결하고, 협력하여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능동적 학습(Active Learning)’을 도입했습니다. 학생들은 실험, 토론, 프로젝트 등을 통해 배운 지식을 실제 상황에 적용해 봄으로써 비판적 사고와 응용 능력을 기르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학습 방식은 암기 위주보다는 질문하고 탐구하며, 스스로 지식을 체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6장: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학습 공간의 설계
학습 환경은 학생들의 잠재력 발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전통적인 교실 구조는 교사가 주도하고 학생이 수동적으로 학습하는 형식으로, 학생 개개인의 참여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국 런던의 하크니 뉴스쿨에서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실 환경을 새롭게 설계하였습니다. 이 학교는 전통적인 책상 배열을 없애고, 다양한 학습 스타일에 맞춰 작은 그룹 토론 공간, 개별 연구 공간, 그리고 프로젝트 중심의 학습이 가능한 개방형 공간을 도입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 참여도가 크게 높아졌으며, 학생들이 보다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따라서 학습 공간은 학생들이 서로 협력하고,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7장: 대본이 아니라 리얼리티가 필요하다
표준화된 교과서를 대본처럼 따라가는 학습은 학생들에게 흥미를 주지 못하며, 실질적인 학습 효과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호주의 멜버른 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실제 사례와 문제를 직접 체험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문제 기반 학습(PBL)을 도입했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지역 사회의 환경 문제를 조사하고, 해결책을 제안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단순한 지식을 넘어서,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한 내용을 현실에 적용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실제 경험 기반 학습은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더 오래 기억하게 하고, 학습 동기를 부여하며,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와 같은 학습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우리는 기존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학습 환경을 고려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모색해야 합니다. 학생들이 단순한 지식 수용자가 아닌, 창의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주체적인 학습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보다 유연하고 현실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